1975년 하이청 지진

북위 40° 40′ 동경 122° 41′ / 북위 40.66° 동경 122.68°  / 40.66; 122.68진원 단층탄루 단층피해피해 지역동베이지진해일없음산사태없음사상자사망자 2,041명[4]

1975년 하이청 지진(중국어: 海城地震)은 랴오닝성 하이청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0, 최대진도 X의 대지진이다. 탄루 단층대에서 일어난 지진이다. 지진 예측에 성공한 유일한 지진이다.

개요

100년 넘게, 만주 지방의 랴오닝성에서는 큰 지진은 없고 비교적 중간급 지진만 몇 번 일어났는데 1974년 초부터 미진이 점차 강해지기 시작했다. 그해 첫 5개월 동안 중국 과학자들은 일반적인 숫자의 5배를 측정했다. 그리고 이 지역 상당 부분이 융기되어 북서쪽으로 기울어 있다는 사실과 지구의 자기장이 이 지역에서 더 강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불어 지하의 전류 수치와 지하수 높이가 비정상적이라는 것도 발견했다. 베이징 국립지진청은 랴오닝에서 2년 안에 중진에서 강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보를 발령했다. 12월 22일 한번 더 지진이 발생했다. 예측이 더욱 상세해져 주요 산업항구인 잉커우시 어딘가에서 1975년 앞의 6개월 안에 규모 5.5~6의 지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이었다.

문제의 지역 전역에서 동물들이 기묘하게 행동하기 시작했다. 뱀들이 동면 시기가 끝나기도 전에 깨어나 눈 속에서 얼어죽었다. 흥분한 쥐들이 집단으로 출몰하고 우물이 끓어올랐다. 72시간 동안 500번의 수많은 미진이 기록되었고 진동이 점차 강해져 1975년 2월 4일 아침 7시 51분 규모 5.1에 이르렀다. 이후 저녁 무렵에 지진 활동이 잦아들었다. 잉커우 시 지진청 청장이자 전직 군인인 차오 시안칭과 아침 8시 15분 긴급회의를 연 지역 중국공산당 간부들은 그의 강력한 설득으로 피난을 결정했다. 2월 4일 오후 2시 300만 명이 집을 나와 야외에서 밤을 보내라는 지시를 받았고 남부 랴오닝 시민들은 지시에 따랐다. 하이청시에서는 진동을 관찰한 사람들이 그리 급박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피난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차오 시안칭은 지진이 오후 8시 이전에 일어날 것이고 오후 7시에 규모 7, 8시에 규모 8의 지진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후 7시 36분에 모멘트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해 하늘이 불빛으로 반짝거렸고 높이 4.5 m의 물줄기와 모래가 허공으로 솟구쳤다. 대부분이 피신을 한 덕분에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사망자가 나왔다. 그러나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과 저체온증 등으로 2천여 명이 사망했다. 또한 이 지진으로 대한민국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2~3의 진동이 감지됐고, 진동 시간도 6분 20초로 매우 길었다고 한다.[5]

1975년 베이징에서 나온 발표에 따르면 하이청 지진은 예측에 성공해서 수천 명의 생명을 구했다. 그러나 이후의 주장에 따르면 차우 시안칭은 과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지진의 타이밍과 규모를 상세히 예측했던 것이 아니라 그냥 감에 따라 행동했던 것으로 보인다.[6]

같이 보기

각주

  1. “하이청 지진 USGS 분석”. 
  2. “하이청 지진 USGS 분석”. 
  3. “하이청 지진 USGS 분석”. 
  4. “Earthquake Prediction: Haicheng, China – 1975”. Eserc.stonybrook.edu. 2016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4일에 확인함. 틀:Better source
  5. “1975년 하이청 지진 경향신문 기사”. 
  6. 앤드루 로빈슨 (2015년 4월). 《지진-두렵거나 외면하거나》.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
  • v
  • t
  • e
문화 대혁명 시기 발생한 주요 재난과 사건사고
지진
해상 사고
  • 1975년 8월 4일 8·4 해난
홍수
  • 1969년 장강 홍수
  • 1975년 허난성 75·8 댐 붕괴 (반차오댐 붕괴)
폭우
철도 사고
  • 1969년 베이징역 열차 추돌 사고
  • 1970년 상하이 열차 전복 사고
  • 1971년 청쿤철로 열차 추돌 사고
  • 1971년 류리허역 열차 추돌 사고
  • 1973년 관인산역 열차 추돌 사고
  • 틀 관련 틀
    • 본 틀
    • 연표
    • 지방사
    • 정치
    • 인물
      • 파벌
      • 주요 인물
      • 중앙소조
      • 오인소조
    • 외교
    • 예술
    • 관련 작품
    • 성과
    • 틀:중화인민공화국 주제
이 글은 중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