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협주곡 23번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가장조(K. 488)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의 스물 세 번째 곡이다. 23번은 1786년 3월 2일에 완성되어 그가 작곡한 오페라인 피가로의 결혼의 초연 시기와 겹친 때입니다.

곡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1악장 알레그로 (Allegro) - 가장조
  • 제2악장 아다지오 (Adagio) - 올림바단조
  • 제3악장 알레그로 아사이 (Allegro Assai) - 가장조

23번은 피아노 한 대와 플루트 1개, 클라리넷 2개, 바순 2개, 호른 2개와 현악기들로 구성되어있다. 모차르트의 후기 작품들은 대개 현악기의 지위와 관악기의 위치가 동등했는데, 이 곡에서도 이러한 부분이 나타나있다. 특히 2악장은 모차르트가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중 유일하게 올림바단조가 사용되었다.

외부 링크

  • v
  • t
  • e
초기
  • 1번 F 장조, K.37
  • 2번 B flat 장조, K.39
  • 3번 D 장조, K.40
  • 4번 G 장조, K.41
잘츠부르크
  • 5번 D 장조, K.175
  • 6번 B flat 장조, K.238
  • No.8번 C 장조, K.246
  • 9번 E flat 장조, K.271 “주놈”
다수의 피아노
  • 7번 F 장조, K.242 “로드론”
  • 10번 E flat 장조, K.365
초기 빈
  • 11번 F 장조, K.413
  • 12번 A 장조, K.414
  • 13번 C 장조, K.415
주요 빈
  • 14번 E flat 장조, K.449
  • 15번 B flat 장조, K.450
  • 16번 D 장조, K.451
  • 17번 G 장조, K.453
  • 18번 B flat 장조, K.456
  • 19번 F 장조, K.459
  • 20번 d 단조 K.466
  • 21번 C 장조, K.467
  • 22번 E flat 장조, K.482
  • 23번 A 장조, K.488
  • 24번 c 단조 K.491
  • 25번 C 장조, K.503
후기
  • 26번 D 장조, K.537 “대관식”
  • 27번 B flat 장조, K.595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피아노 협주곡 23번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VIAF
    • 2
국가
  • 프랑스
  • BnF 데이터
  • 독일
  • 이스라엘
  • 미국
  • 오스트레일리아
  • 폴란드
기타
  • 뮤직브레인즈 작품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