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B. 구디너프

존 B. 구디너프
John B. Goodenough
존 B. 구디너프(2019년)
존 B. 구디너프(2019년)
출생 1922년 7월 25일(1922-07-25)
독일 예나
사망 2023년 6월 25일(2023-06-25)(100세)
국적 미국
주요 업적 리튬 이온 전지
초교환
랜덤 액세스 메모리
수상
분야 고체물리학
소속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학위 논문 A theory of the deviation from close packing in hexagonal metal crystals
박사 교수 클래런스 제너
박사 학생 윌리엄 I. F. 데이비드[1]

존 배니스터 구디너프(영어: John Bannister Goodenough, /ˈɡʊdɪnʌf/ GUUD-in-uf;[2] 1922년 7월 25일~2023년 6월 25일)는 미국고체물리학자이며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기계공학, 재료과학)이다. 2019년에 리튬 이온 전지를 개발한 공로로 스탠리 휘팅엄, 요시노 아키라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경력

참고 문헌

논문

  • John B. Goodenough (1955). “Theory of the role of covalence in the Perovskite-type Manganites [La, M(II)]MnO3”. 《Phys. Rev.》 100: 564–573. Bibcode:1955PhRv..100..564G. doi:10.1103/physrev.100.564. 
  • K. Mizushima; P.C. Jones; P.J. Wiseman; J.B. Goodenough (1980). “LixCoO2 (0<x<-1): A new cathode material for batteries of high energy density”. 《Mater. Res. Bull.》 15 (6): 783–799. doi:10.1016/0025-5408(80)90012-4. 
  • John B. Goodenough (1985). B. Schuman, Jr.; 외., 편집. “Manganese Oxides as Battery Cathodes” (PDF). 《Proceedings Symposium on Manganese Dioxide Electrode: Theory and Practice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Re Electrochem. Soc. Inc, N.J.) 85–4: 77–96. 
  • Lightfoot, P.; Pei, S. Y.; Jorgensen, J. D.; Manthiram, A.; Tang, X. X. & J. B. Goodenough. "Excess Oxygen Defects in Layered Cuprates", Argonne National Laboratory, The University of Texas-Austin, Materials Science Laborato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eptember 1990).
  • Argyriou, D. N.; Mitchell, J. F.; Chmaissem, O.; Short, S.; Jorgensen, J. D. & J. B. Goodenough. "Sign Reversal of the Mn-O Bond Compressibility in La1.2Sr1.8Mn2O7 Below TC: Exchange Striction in the Ferromagnetic State", Argonne National Laboratory, The University of Texas-Austin, Center for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elch Foundation, (March 1997).
  • A.K. Padhi; K.S. Nanjundaswamy; J.B. Goodenough (1997). “Phospho-Olivines as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PDF). 《J. Electrochem. Soc.》 144 (4): 1188–1194. doi:10.1149/1.1837571. 2018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John B. Goodenough (2004). “Electronic and ionic transport properties and other physical aspects of perovskites”. 《Rep. Prog. Phys.》 67 (11): 1915–1973. Bibcode:2004RPPh...67.1915G. doi:10.1088/0034-4885/67/11/R01. 
  • Goodenough, J. B.; Abruna, H. D. & M. V. Buchanan. "Basic Research Need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Report of the Basic Energy Sciences Workshop on Electrical Energy Storage, April 2-4, 2007",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April 4, 2007).
  • “John B. Goodenough”. 《Faculty》.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2005년 5월 3일.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저서

  • John B. Goodenough (1963). 《Magnetism and the Chemical Bond》. Interscience-Wiley, New York. ISBN 0-88275-384-3.  프리 액세스
  • John B. Goodenough (1973). 《Les oxydes des métaux de transition》. Paris: Gauthier-Villars. 
  • John B. Goodenough, ed. (2001). 《Structure & Bonding, V. 98》 (PDF). 

각주

  1. Thackeray, M. M.; David, W. I. F.; Bruce, P. G.; Goodenough, J. B. (1983). “Lithium insertion into manganese spinels”. 《Materials Research Bulletin》 18 (4): 461–472. doi:10.1016/0025-5408(83)90138-1. 
  2. Expert Opinion with Dr. Goodenough - The Future of Battery Storage (Expert Audience) - 유튜브

외부 링크

  • (영어) Faculty Directory a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영어) Array of Contemporary American Physicists
  • (영어) History of the lithium-ion battery, Physics Today, Sept. 2016
  • 1 hour interview with John Goodenough - 유튜브 by The Electrochemical Society, October 5, 2016
  • v
  • t
  • e
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학·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1901-19251926-19501951-19751976-20002001-현재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노벨 화학상
  • v
  • t
  • e
←  2019년 노벨상 수상자  →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ISNI
  • VIAF
국가
  • 노르웨이
  • 프랑스
  • BnF 데이터
  • 카탈루냐
  • 독일
  • 이스라엘
  • 벨기에
  • 미국
  • 네덜란드
  • 폴란드
학술
  • CiNii
  • DBLP
  • 구글 학술 검색
  • ORCID
  • Scopus
기타
  • IdRef